두통이 심해 약국에서 두통약을 찾을 때, 어떻게 이야기하시나요?
‘타이레놀 주세요.’라고 하는 사람은 많지만, ‘아세트아미노펜 주세요.’ 라고 하는 경우는 드물지 않을까요?
사실 ‘아세트아미노펜’은 의약품 ‘타이레놀’의 성분명입니다. 그리고 ‘타이레놀’은 제약사가 환자가 찾기 편하도록 만든 브랜드명이지요.
의약품의 여러 이름에 대해 간단히 알아봅시다.
의약품의 성분명 이름을 보면 이 의약품이 어디에 효능을 발휘하는지, 어떤 기전의 약제인지를 알 수 있습니다.
약을 부르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특정 의약품의 화학적 결합상태, 분자구조를 부르는 ‘화학명(Chemical Name)’과 성분의 형태와 작용 기전 등을 조합해서 만드는 ‘성분명(Generic Name)’, 마지막으로 제품 판매를 위해 제약사가 만드는 ‘브랜드명(Brand Name)’ 입니다.
예를 들면, 암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항암제 중 하나인 시스플라틴(Cisplatin)은 성분명으로, 화학명은 시스다이암민다이클로로플래티눔(Cis-diamminedichloroplatinum)이고 브랜드명은 플라티놀(Platinol-AQ) 입니다.
그럼 의약품의 성분명은 어떤 기준으로 정해지는 걸까요?
1953년 WHO에서는 세계적으로 공통이면서 간결한 명칭, 즉 국제성분명(INN)을 제정하였는데요, 하나의 성분에 대해 전세계적으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함으로써 의약품 오용방지 등 사용의 혼란을 막고 정보전달력을 높이기 위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INN이 전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성분명이지만, 일부국가에서는 별도의 자국내 성분명 체계를 두고 있습니다. 그 예가 미국 USAN, 일본 JAN, 영국 BAN입니다.
앞서 언급한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은 USAN 기준의 이름이고, INN 및 BAN의 기준에서는 파라세타몰(Paracetamol)로 불립니다. 화학명이 파라아세틸아미노페놀(Para-acetylaminophenol)이니, 두가지 모두 줄임말입니다.
국제성분명(INN)은 ‘약리학적/화학적으로 연관된’ 물질들의 이름에 대해 모두 공통 어근을 사용하는데 기반합니다. 어근은 주로 접미사로 사용되지만, 때로는 삽입사나 접두사로 사용되어질 수 있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어근은 -mab 과 -nib 이겠지요?
어근 -mab은 단일클론항체(Monoclonal Antibody, mAb, 또는 moAb)을 의미합니다. 단일클론항체는 한 가지 종류의 항원에만 결합하는 항체입니다. 외부에서 어떠한 물질이 체내에 유입될 경우 생체에서 이에 대한 면역반응으로 유입된 외부물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일종의 단백질을 생성하는데요, 면역항암제를 비롯해 이를 이용한 약물들은 -mab으로 끝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앞에서 언급한 머크의 펨브롤리주맙(Pembrolizumab), 항서제약의 캄렐리주맙(Camrelizumab) 등이 있습니다.
어근 -nib은 소분자화합물(Small molecule compound)로, 신호를 전달받아 세포내로 이동시키는 경로를 차단하는 표적항암제가 이에 해당합니다. 대부분의 소분자화합물이 여러 신호전달 경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인 타이로신 키나아제(Tyrosine kinase)에 작용하기 때문에, 소분자 키나아제 억제제(Small molecule Kinase Inhibitor), 타이로신 키나아제 억제제(Tyrosine Kinase Inhibitor)라고 알려져 있는데요, 소분자 화합물의 각 성분은 inhibit을 구두 상으로 축약한 nib을 사용하여 명명됩니다.
이번에는 의약품의 여러 이름에 대해 간단히 알아봤는데요. 앞으로 새로운 의약품을 접할 때, 의약품의 성분명을 찾아보고 어떤 물질인지, 어디에 효과가 있는지를 추측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